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0

탄수화물 섭취와 건강 1. 탄수화물 섭취와 관련된 질환① 충치 백설탕 외에 꿀, 시럽, 단 음료, 케이크 등의 단 음식은 설탕을 많이 함유한다. 설탕은 에너지 외에 다른 영양소는 거의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빈 칼로리 식품이라고 불리 운다. 입안에 서식하는 박테리아는 설탕을 덱스트란으로 만들어 플라그를 형성하고 산을 생성하여 치아표면의 pH를 4까지 떨어뜨린다. 충치는 치아 표면의 pH가 5.5 이하일 때 시작된다. 따라서 설탕 섭취량이 많을수록 충치 발생률은 높아진다. 충치를 예방하려면 치실을 사용하거나 양치도 도움이 되며 식후나 간식 후에 15~20분간 무설탕 검을 씹어서 구강 청정기능을 도와줄 수도 있다.  ② 고지혈증 에너지 섭취가 과잉이고 고탄수화물식을 섭취했을 때, 에너지를 생성하고 남은 과잉의 혈당은 중성지방 합성.. 2025. 2. 10.
탄수화물의 체내 기능 1. 에너지 공급 신체는 음식물로부터 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지속적으로 공급받아야 하는데, 주된 에너지 공급원이 바로 탄수화물이다. 탄수화물 1g은 체내에서 산화되어 4kcal를 제공하며, 소화흡수율은 평균 98%로서 섭취한 탄수화물의 대부분이 흡수되어 체내에서 이용된다. 지질이나 단백질도 에너지를 공급하는 기능이 있으나 뇌, 적혈구, 신경세포는 포도당만을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므로 이들 세포의 기능유지를 위해 탄수화물 섭취는 필수적이다. 그 외에 근육 등 다른 세포에서도 식후에 혈당치가 오르면 포도당을 에너지원으로 이용한다.  2. 단백질 절약작용 혈당이 낮아지고 탄수화물 섭취가 중단되었을 때에는 뇌, 적혈구, 신경세포 등의 주요 에너지원인 포도당을 공급하기 위해 혈당치를 올려야 한다. 이때 단백질 등으로.. 2025. 2. 10.
탄수화물 대사 소화 흡수된 단당류가 문맥을 따라 간으로 운반되면 과당과 갈락토오스는 간에서 효소에 의해 포도당으로 전환되어 대사 된다. 따라서 탄수화물 대사는 포도당 대사라고 할 수 있다. 혈당은 포도당이며, 세포는 혈액으로부터 포도당을 받아서 대사에 이용한다.  1. 포도당 대사 혈액을 따라 운반되어 온 포도당은 세포 내로 들어온 후 이화대사나 동화대사 과정을 거친다. 이화대사는 포도당을 분해하여 에너지를 생성하는 과정으로서 해당과정과 TCA 회로가 있고, 동화대사에는 글리코겐 합성과 포도당 신생합성이 있으며, 그 외 포도당은 오탄당 인산회로, 체지방합성, 코리회로 등의 과정을 거친다.  ① 해당과정 산소가 없어도 진행되는 혐기성 반응으로서 세포질에서 이루어진다. 해당과정을 거쳐 2분자의 피루브산(3탄소 유기산)으로.. 2025. 2. 10.
탄수화물 1. 분류 탄수화물은 탄소, 수소, 산소로 구성된 물질로서  (CH2O)n의 구조식을 이룬다. 탄수화물은 에너지를 제공하는 당질과 생리적 역할을 하는 식이 섬유소를 포함한다. 탄수화물의 구성단위는 단당류이며 단당류가 모여서 이당류, 올리고당류, 다당류를 이룬다.  ① 단당류 식품에 가장 흔한 단당류는 6탄당(탄소 6개)으로서 포도당, 과당, 갈락토오스가 있고 5탄당(탄소 5개)에는 리보오스, 디옥시리보오스가 있다. 이들 단당류는 자연계에서 사슬모양과 고리모양의 두 가지 형태를 이루나, 생채 내에서는 주로 고리모양으로 존재한다.  6탄당 포도당, 과당, 갈락토오스는 분자식이 모두 C6H12O6로서 분자량이 같지만, 산소와 수소의 위치에 차이가 있어서 모양이 약간 다르고 맛도 조금씩 다르다. 포도당혈당의 급.. 2025. 2.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