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30 단백질의 정의와 구조 1. 정의 단백질은 생물의 생명유지에 필수적인 영양소로 동식물의 조직 세포의 구조적·기능적 특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건강한 성인의 경우 체중의 약 15%가 단백질로 이루어졌다. 인체에 분포하는 단백질의 절반은 근육 단백질로 존재하고 피부와 혈액에 약 15%가, 간과 신장에는 10% 정도가 분포되어 있으며 나머지는 뇌, 폐, 심장, 뼈 등에 존재한다. 단백질은 구성성분에 따라 단순단백질과 복합단백질로 나눌 수 있는데, 단순단백질과 복합단백질이란 나눌 수 있는데, 단순단백질이란 순수하게 아미노산으로만 이루어진 단백질이고 복합단백질이란 아미노산 외에 다른 화학성분을 함유하는 단백질이다. 복합단백질은 아미노산 부분 이외 부분의 성질에 따라 다양한 구조와 기능을 가지고 있다. 단백질은 체내에서 근육이나 .. 2025. 2. 11. 지질의 체내 기능 1. 중성지방① 고효율의 에너지급원 지질은 1g당 9kcal를 내는 농축 에너지 급원으로서 체내에 저장될 때 탄수화물과는 달리 물을 소량 함유하므로 탄수화물보다 에너지 저장량이 훨씬 많다. 피하나 복강 등 지방조직에 저장된 체지방은 효율적인 에너지 저장고로서 식품 중 지방과는 달리 1g당 7.8kcal를 낸다. 체지방 비율은 연령과 에너지 섭취상태에 따라 달라지는데, 일반적으로 젊은 남녀의 경우, 각각 평균 15%, 25%로서 여자의 체지방 비율이 더 높다. ② 지용성 비타민 흡수촉진 지용성 비타민은 지질에 용해되어 지질과 함께 흡수되므로 지질 섭취량이 적거나 흡수불량증과 같이 지질흡수에 장애가 있으면 지용성 비타민의 흡수량도 저하한다. ③ 필수지방산 공급 필수지방산은 인체의 성장 및 생명 유지를 위해.. 2025. 2. 10. 지질의 소화와 흡수 1. 지질의 소화 ① 구강, 위에서의 소화 설선(혀밑샘)에서 분비되는 지질 분해효소인 라이페이즈는 주로 짧은 사슬지방이나 중간 사슬지방을 가수분해하여 다이글리세라이드와 지방산을 생성한다. 그러나 음식물이 입안에 머무는 시간은 짧아서 입안에서는 소량만 소화되고 대부분 트리글리세라이드 형태로 넘어간다. 또한 일상식에서 흔히 섭취하는 지질은 소수성의 긴 사슬지방으로서 구강, 위와는 무관하므로 위에서 형성된 유미즙에 섞이지 않은 상태로 십이지장으로 넘어간다. 그러나 모유나 우유에 포함되어 있는 유지방은 짧은 사슬 지방을 다량 함유하므로 유즙에 의존하는 영아의 경우에는 구강과 위에서의 라이페이즈의 작용이 중요하다. ② 소장에서의 소화 위의 산성 유미즙이 십이지장에 도달하면 세크레틴이라는 호르몬이 분비된다. 세.. 2025. 2. 10. 지질의 분류 지질은 탄소, 수소, 산소로 구성된 유기화합물로서 물에 쉽게 용해되지 않고 에테르, 알코올, 벤젠 등의 유기용매에 녹는 영양소이다. 지질은 크게 중성지방, 인지질, 콜레스테롤로 분류된다. 1. 중성지방 글리세롤 1분자에 지방산 3분자가 에스테르 결합한 것으로서 식품이나 체지방의 95%는 중성지방 형태이다. 에스테르 결합은 글리세롤의 수산기(-OH)와 지방산의 카르복실기(-COOH) 사이에 물 한 분자가 빠짐으로써 이루어진다. 글리세롤 1분자에 1개의 지방산이 결합한 것을 모노글리세라이드, 2개의 지방산이 결합한 것을 다이글리세라이드, 3개의 지방산이 결합한 것을 트리글리세라이드라고 하고 이 트리글리세라이드가 자연계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지질 형태이다. 일반적으로 글리세롤의 3개의 수산기 중 1번과 3번 위.. 2025. 2. 10. 이전 1 ··· 3 4 5 6 7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