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8

탄수화물 대사 소화 흡수된 단당류가 문맥을 따라 간으로 운반되면 과당과 갈락토오스는 간에서 효소에 의해 포도당으로 전환되어 대사 된다. 따라서 탄수화물 대사는 포도당 대사라고 할 수 있다. 혈당은 포도당이며, 세포는 혈액으로부터 포도당을 받아서 대사에 이용한다.  1. 포도당 대사 혈액을 따라 운반되어 온 포도당은 세포 내로 들어온 후 이화대사나 동화대사 과정을 거친다. 이화대사는 포도당을 분해하여 에너지를 생성하는 과정으로서 해당과정과 TCA 회로가 있고, 동화대사에는 글리코겐 합성과 포도당 신생합성이 있으며, 그 외 포도당은 오탄당 인산회로, 체지방합성, 코리회로 등의 과정을 거친다.  ① 해당과정 산소가 없어도 진행되는 혐기성 반응으로서 세포질에서 이루어진다. 해당과정을 거쳐 2분자의 피루브산(3탄소 유기산)으로.. 2025. 2. 10.
탄수화물 1. 분류 탄수화물은 탄소, 수소, 산소로 구성된 물질로서  (CH2O)n의 구조식을 이룬다. 탄수화물은 에너지를 제공하는 당질과 생리적 역할을 하는 식이 섬유소를 포함한다. 탄수화물의 구성단위는 단당류이며 단당류가 모여서 이당류, 올리고당류, 다당류를 이룬다.  ① 단당류 식품에 가장 흔한 단당류는 6탄당(탄소 6개)으로서 포도당, 과당, 갈락토오스가 있고 5탄당(탄소 5개)에는 리보오스, 디옥시리보오스가 있다. 이들 단당류는 자연계에서 사슬모양과 고리모양의 두 가지 형태를 이루나, 생채 내에서는 주로 고리모양으로 존재한다.  6탄당 포도당, 과당, 갈락토오스는 분자식이 모두 C6H12O6로서 분자량이 같지만, 산소와 수소의 위치에 차이가 있어서 모양이 약간 다르고 맛도 조금씩 다르다. 포도당혈당의 급.. 2025. 2. 9.
소화와 흡수 1. 소화기계 소화관은 구강에서부터 시작하여 인두, 식도, 위, 소장, 대장 및 직장을 거쳐 항문까지 총 7~8m에 이르는 튜브 형태의 탄력성 있는 근육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외 부속기관으로 치아, 혀, 담낭이 있고 타액선, 간, 췌장의 소화선들은 타액, 담즙, 췌액 및 소화효소 등을 생산 분비하여 소화와 흡수를 돕는다. 영양소는 소화관 튜브의 관강에서 소화 용해된 후 소화관 벽의 점막을 구성하는 상피세포 내로 이동하여 흡수된다.  2. 소화관의 운동 및 관련 호르몬① 소화관 운동소화관의 운동은 크게 연동운동과 분절운동으로 나뉜다연동운동 : 소화관 벽 근육의 수축과 이완에 의한 파동으로 음식물이 위에서 아래로 이동하는 운동으로서 음식물이 인두로 들어가는 순간부터 반사적으로 일어난다.분절운동 : 장관.. 2025. 2. 9.
영양과 건강 1. 영양소의 역할과 종류 영양소란 식품으로부터 공급되어 체내에서 열량을 내주거나 신체를 구성하며 성장시켜 주고 체조직을 유지, 보수하고 인체의 기능을 조절하는 성분들이다. 인간이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여러 종류의 다양한 영양소가 필요하다. 이들 영양소는 주로 식품 속에 함유되어 있지만 때로는 인체 내에서 합성되기도 하고 섭취된 영양소가 체내에서 다른 영양소로 전환되기도 한다.  영양소는 탄수화물, 단백질, 지질, 비타민, 무기질의 5대 영양소로 분류되며 인체를 구성하는 중요 성분인 물을 포함하여 6대 영양소로 분류하기도 한다.   최근까지 인간의 성장과 발달을 위하여서는 45가지의 필수 영양소가 함유된 식사를 해야 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들 영양소는 인체 내에서의 역할에 따라 크게 3가지로 분류된다.. 2025. 2.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