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타민 B-6는 아직도 연구되어야 할 부분이 많은 비타민으로 "잠자는 거인"이라 불리기도 하고, 월경전증후군에 효과가 있다 하여 "여성의 비타민"이라는 별명도 있다.
비타민 B-6는 단일물질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대사와 기능에 관여된 Pyridine구조에 따라 Pyridoxine, Pyridoxal, Pyridoxamine으로 된 복합단어이다. 그들은 체내에서 변형이 가능하며 생물학적 활성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되어있다. 안정성은 Pyridoxine이 가장 크다.
1. 구조 및 화학
피리독신(Pyridoxine)은 쓴맛의 유리염기로 물, 알코올, 아세톤에 잘 용해된다. 염산염으로 결정화되어 상업적으로 유통된다. 피리독신은 안정성이 높으며 Alcohol form은 산성이나 알칼리성용액에서 가열해도 파괴되지 않는다. Pyridoxal과 Pyridoxamine은 Pyridoxine보다는 불안정하며 요리 도중 높은 온도에서는 파괴된다.
2. 흡수 및 대사
비타민 B-6의 대사기능은 보조효소로서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대사에 관여 하지만 주요 기능은 단백질 및 아미노산의 대사와 관계가 깊다. 현재까지 60여 종이 넘는 효소의 작용에 참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RNA, DNA의 합성에 필요한 성분이다.
Glycogen phosphorylase, Transaminase, Decarboxylase, Deaminase 등에 관여하는데 뒷부분의 세 효소들은 단백질의 동화작용과 이화작용에 필수성분이다. 간과 근육으로부터 Glycogen을 유리시켜 에너지를 만드는데 도움을 주므로 육체적 활력을 위해 필수성분이다.
비타민 B-12의 흡수 및 필수지방산(Linoleic acid)이 체내에서 충분한 기능을 하도록 돕는다. 나트륨과 칼륨의 균형을 이루어 체내의 수분조절과 신경 및 근 골격계의 기능을 정상으로 유지시킨다.
이 비타민은 흡수되어 8시간 안에서 소변으로 배설되므로 매일 섭취되어야 한다. 간장에는 저장되지 않으나 근육에서는 발견된다. 다이어트나 음식 섭취를 못하는 경우 부족증상에 빠지기 쉬우므로 주의를 요한다.
Kilmer S. McCully, M.D의 연구에 의하면 피리독신은 아미노산의 대사 중에 생성되는 Homocysteine을 Cysteine으로 변화시키는데 꼭 필요하므로 아테롬성 동맥경화증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발표하였다. Homocysteine은 Methionine이라는 유황을 갖고 있는 아미노산의 대사 중 부산물로 생성되는 물질로서, 혈액 내에 Homocysteine량이 증가함에 따라 동맥혈관을 경화시키게 된다.
3. Antivitamin
비타민의 작용을 방해하는 물질들을 Antivitamin이라 한다. 비타민 B-6의 생물학적 활성은 분자전체에 의하는 것으로 되어있다. 예를 들면 비타민 B-6의 작용을 방해하는 Antivitamin의 구조는 Pyridoxine과 비슷한 것들이 많다.
Deoxypyridoxine은 Pyridoxine의 유도체로 Methanol group이 Methyl group으로 치환된 구조지만 강력한 Antivitamin이다.
Antivitamin인 아이나(Isonicotinic acid hydrazide)도 화학적으로 Pyridoxine과 관계가 있다. 고혈압치료제인 Hydralazine 비타민 B-6의 효과를 떨어뜨린다.
때문에 결핵을 치료하기 위해 아이나를 복용한다거나, 고혈압을 치료하기 위해 Hydralazine을 복용하는 사람들은 추가로 피리독신을 더 복용해야한다.
4. 결핍증상
비타민 B-6의 결핍은 혈당이 떨어지고, 내당성이 감소되고, 인슐린에 대한 감수성이 저하된다. 머리가 빠지고, 입과 눈 주위의 피부가 갈라지고, 감각이 둔하고, 팔과 다리의 경련, 학습능력의 저하, 시력장애, 신경염, 관절염, 심기능 이상, 소변 량의 증가 등이 있을 수 있다. 부족증상은 골수의 장애를 일으켜 빈혈을 유발하는 경우도 있다.
임신부에게 이 비타민이 부족하면 수분의 저류로 몸이 붓거나, 입덧 등의 증상이 있으며, 임신말기까지 부족현상이 계속되면 사산이나, 출산 후 신생아의 생명이 위태로울 경우도 있다. 연구에 의하면 임신부는 정상인보다 비타민 B-6의 요구량이 크므로 태아의 견강을 위해서도 태반에 충분한 양이 공급되도록 신경을 써야 한다. 폐경기의 여성에게 호르몬요법(Estrogen 치료)의 경우 비타민 C와 B-6 두 가지의 비타민 부족현상을 주의해야 한다.
정신분열증 환자는 Kryptopyrrole이라는 인자가 Pyridoxine과 결합하여 소변으로 배설되므로 더 많은 비타민 B-6을 필요로 하며, 망간과 아연도 보충하는 것이 좋다.
비타민 B-6의 부족은 동맥의 벽에 플러그를 축적시키므로 심장질환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결핍증상은 Riboflavin이나 Niacin과 유사하게 근육의 연약, 신경과민, 신경질, 우울, 집중력 저하, 기억력 감퇴, 동맥경화, 피부염 등을 나타낸다.
5. 요구량
비타민 B-6의 요구량은 연령, 성별, 결핍증이 우려되는 상황, 적용기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단백질대사는 피리독신(Pyridoxine)이 존재할 때에 적절한 기능을 할 수 있으므로 고단백 식사를 많이 할 때 증가된다. 치료 목적으로는 성인 1일 25mg~200mg의 용량이 적합하고, 1일 500mg 이상을 자가복용 하는 것은 위험하다. 매일 2g~10g을 투여하면 몇 개월 내에 지각신경증을 일으킨다.
6. 자원
식품 속의 단백질에 주로 결합되어 있다.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참치, 송어, 넙치, 청어, 연어, 땅콩, 호두, 옥수수, 현미 등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7. 참고사항
- 항우울제, 에스트로겐, 경구용 피임약 등은 비타민 B-6의 요구량을 증가시킨다.
- 이뇨제, 스테로이드는 비타민 B-6의 흡수를 방해한다.
'영양요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타민 B-12 (Cyanocobalamin) (0) | 2025.05.16 |
---|---|
비타민 B-9 (엽산, Folic acid, Folate, Folacin) (0) | 2025.05.15 |
비타민 B-5 (Pantothenic acid) (2) | 2025.05.15 |
비타민 B-3 (Niacinamide, Niacin) (2) | 2025.05.15 |
비타민 B-2 (Riboflavin) (2) | 2025.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