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기초영양학28

단백질의 종류와 필요량 1. 종류 식품단백질은 함유된 필수아미노산의 조성에 따라서 완전단백질, 불완전단백질, 부분적 불완전단백질로 분류한다. 필수아미노산 조성이 체내 단백질 합성에 적합한 비율로 조성되어 인체의 성장과 유지에 효율이 높은 양질의 단백질을 완전단백질이라 하고 주로 동물성단백질이 이에 속한다. 특히 유즙과 계란에 함유된 단백질의 아미노산 조성은 체조직 합성에 가장 효율성이 높아서 완전단백질에 속한다.  ① 제한 아미노산 식품에 들어 있는 필수아미노산 중 인체에 요구되는 양에 비해서 가장 적게 들어있는 필수아미노산을 제한아미노산이라고 한다. 체조직을 합성하기 위해서는 여러 아미노산이 필요하다. 이들 아미노산 중 한 가지만 부족하여도 체조직 합성이 제한되기 때문에 제한아미노산이 그 단백질의 질을 결정한다고 할 수 있다.. 2025. 2. 11.
단백질 소화와 흡수 1. 소화와 흡수 식품 중의 단백질은 위액, 췌장액 그리고 소장액의 소화효소에 의해 분해되어 아미노산형태로 소장에서 흡수된다. 소화기관 벽도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원칙적으로는 단백질 소화효소가 소장벽을 분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음식물이 소화기관내에 없을 때에는 단백질 분해효소들이 저농도로 존재하거나 불활성형으로 존재하여 소화기관의 자가소화를 막아준다. ① 위에서의 소화 구강에는 단백질 소화효소가 없어 소화가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단백질의 소화는 위부터 시작된다. 위에 음식물이 들어오면 위 근육의 수축으로 기계적 소화가 이루어지고, 호르몬인 가스트린이 분비되어 위 세포에서 불활성형의 단백질 소화효소인 펩시노젠의 분비를 촉진한다. 위액의 염산이 펩시노젠을 활성형 효소인 펩신으로 전환시키면 이 펩신의 작.. 2025. 2. 11.
단백질의 정의와 구조 1. 정의 단백질은 생물의 생명유지에 필수적인 영양소로 동식물의 조직 세포의 구조적·기능적 특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건강한 성인의 경우 체중의 약 15%가 단백질로 이루어졌다. 인체에 분포하는 단백질의 절반은 근육 단백질로 존재하고 피부와 혈액에 약 15%가, 간과 신장에는 10% 정도가 분포되어 있으며 나머지는 뇌, 폐, 심장, 뼈 등에 존재한다. 단백질은 구성성분에 따라 단순단백질과 복합단백질로 나눌 수 있는데, 단순단백질과 복합단백질이란 나눌 수 있는데, 단순단백질이란 순수하게 아미노산으로만 이루어진 단백질이고 복합단백질이란 아미노산 외에 다른 화학성분을 함유하는 단백질이다. 복합단백질은 아미노산 부분 이외 부분의 성질에 따라 다양한 구조와 기능을 가지고 있다. 단백질은 체내에서 근육이나 .. 2025. 2. 11.
지질의 체내 기능 1. 중성지방① 고효율의 에너지급원 지질은 1g당 9kcal를 내는 농축 에너지 급원으로서 체내에 저장될 때 탄수화물과는 달리 물을 소량 함유하므로 탄수화물보다 에너지 저장량이 훨씬 많다. 피하나 복강 등 지방조직에 저장된 체지방은 효율적인 에너지 저장고로서 식품 중 지방과는 달리 1g당 7.8kcal를 낸다. 체지방 비율은 연령과 에너지 섭취상태에 따라 달라지는데, 일반적으로 젊은 남녀의 경우, 각각 평균 15%, 25%로서 여자의 체지방 비율이 더 높다. ② 지용성 비타민 흡수촉진 지용성 비타민은 지질에 용해되어 지질과 함께 흡수되므로 지질 섭취량이 적거나 흡수불량증과 같이 지질흡수에 장애가 있으면 지용성 비타민의 흡수량도 저하한다.  ③ 필수지방산 공급 필수지방산은 인체의 성장 및 생명 유지를 위해.. 2025. 2.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