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초영양학28 지질의 소화와 흡수 1. 지질의 소화 ① 구강, 위에서의 소화 설선(혀밑샘)에서 분비되는 지질 분해효소인 라이페이즈는 주로 짧은 사슬지방이나 중간 사슬지방을 가수분해하여 다이글리세라이드와 지방산을 생성한다. 그러나 음식물이 입안에 머무는 시간은 짧아서 입안에서는 소량만 소화되고 대부분 트리글리세라이드 형태로 넘어간다. 또한 일상식에서 흔히 섭취하는 지질은 소수성의 긴 사슬지방으로서 구강, 위와는 무관하므로 위에서 형성된 유미즙에 섞이지 않은 상태로 십이지장으로 넘어간다. 그러나 모유나 우유에 포함되어 있는 유지방은 짧은 사슬 지방을 다량 함유하므로 유즙에 의존하는 영아의 경우에는 구강과 위에서의 라이페이즈의 작용이 중요하다. ② 소장에서의 소화 위의 산성 유미즙이 십이지장에 도달하면 세크레틴이라는 호르몬이 분비된다. 세.. 2025. 2. 10. 지질의 분류 지질은 탄소, 수소, 산소로 구성된 유기화합물로서 물에 쉽게 용해되지 않고 에테르, 알코올, 벤젠 등의 유기용매에 녹는 영양소이다. 지질은 크게 중성지방, 인지질, 콜레스테롤로 분류된다. 1. 중성지방 글리세롤 1분자에 지방산 3분자가 에스테르 결합한 것으로서 식품이나 체지방의 95%는 중성지방 형태이다. 에스테르 결합은 글리세롤의 수산기(-OH)와 지방산의 카르복실기(-COOH) 사이에 물 한 분자가 빠짐으로써 이루어진다. 글리세롤 1분자에 1개의 지방산이 결합한 것을 모노글리세라이드, 2개의 지방산이 결합한 것을 다이글리세라이드, 3개의 지방산이 결합한 것을 트리글리세라이드라고 하고 이 트리글리세라이드가 자연계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지질 형태이다. 일반적으로 글리세롤의 3개의 수산기 중 1번과 3번 위.. 2025. 2. 10. 탄수화물 섭취와 건강 1. 탄수화물 섭취와 관련된 질환① 충치 백설탕 외에 꿀, 시럽, 단 음료, 케이크 등의 단 음식은 설탕을 많이 함유한다. 설탕은 에너지 외에 다른 영양소는 거의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빈 칼로리 식품이라고 불리 운다. 입안에 서식하는 박테리아는 설탕을 덱스트란으로 만들어 플라그를 형성하고 산을 생성하여 치아표면의 pH를 4까지 떨어뜨린다. 충치는 치아 표면의 pH가 5.5 이하일 때 시작된다. 따라서 설탕 섭취량이 많을수록 충치 발생률은 높아진다. 충치를 예방하려면 치실을 사용하거나 양치도 도움이 되며 식후나 간식 후에 15~20분간 무설탕 검을 씹어서 구강 청정기능을 도와줄 수도 있다. ② 고지혈증 에너지 섭취가 과잉이고 고탄수화물식을 섭취했을 때, 에너지를 생성하고 남은 과잉의 혈당은 중성지방 합성.. 2025. 2. 10. 탄수화물의 체내 기능 1. 에너지 공급 신체는 음식물로부터 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지속적으로 공급받아야 하는데, 주된 에너지 공급원이 바로 탄수화물이다. 탄수화물 1g은 체내에서 산화되어 4kcal를 제공하며, 소화흡수율은 평균 98%로서 섭취한 탄수화물의 대부분이 흡수되어 체내에서 이용된다. 지질이나 단백질도 에너지를 공급하는 기능이 있으나 뇌, 적혈구, 신경세포는 포도당만을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므로 이들 세포의 기능유지를 위해 탄수화물 섭취는 필수적이다. 그 외에 근육 등 다른 세포에서도 식후에 혈당치가 오르면 포도당을 에너지원으로 이용한다. 2. 단백질 절약작용 혈당이 낮아지고 탄수화물 섭취가 중단되었을 때에는 뇌, 적혈구, 신경세포 등의 주요 에너지원인 포도당을 공급하기 위해 혈당치를 올려야 한다. 이때 단백질 등으로.. 2025. 2. 10. 이전 1 ··· 3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