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양요법

PABA (Para-Aminobenzoic acid)

by 웰니스리아 2025. 5. 19.
반응형

엽산 안의 PABA
영양소

 

1. 구조 및 화학

 PABA는 B그룹의 비타민은 아니지만, B-complex와 협동작용을 하므로 B그룹의 비타민과 가깝게 느껴진다. 수용성이며, "비타민 속의 비타민"이라고 할 수 있듯이, 엽산(Folic acid)의 구조 안에 포함되어 있다. 체내의 조직에 저장되어 있으며, 정상인의 컨디션에서는 장내에서 만들어지기도 한다. 

 흰색 또는 약간의 미색을 띠는 무취의 결정체이며, 공기와 빛에 의해 변색된다. 알코올에는 잘 녹으나 물이나 클로로포름에는 약간 녹는다.

 

2. 생리작용

 PABA는 엽산(Folic acid)의 기본 성분이다. 외용제로 Sunscreen으로 이용되며, 백반과 같은 피부의 병변에도 활용한다. 피부의 화상에 의한 통증을 완화시키기 위해서는 비타민 E 보다 더 효과적일 수 있다.

 스트레스나 영양 결핍으로 머리가 희어졌다면 PABA의 투여로도 회복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엽산과 같이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단백질의 분해 및 합성대사에 보조효소로 작용하기 때문에 부족하면 소화불량이나, 신경과민 또는 우울증, 피로 등이 나타날 수도 있다.

 Dr. Carl Pfeiffer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정신 분열증 환자에게 하루 2g의 PABA를 투여하여 좋은 효과를 얻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 그 메커니즘은 환각을 일으키는 특정의 물질 생성을 PABA가 막아주기 때문이며, 또한 비타민 C, Pantothenic acid와 협동하여 저혈당 증세를 없애주기 때문이다. 

 

3. 자원

 간, 이스트, 콩팥, 버섯, 시금치, 현미 등

'영양요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타민 C (Ascorbic acid)  (3) 2025.05.19
Co-enzyme Q10 (Ubiquinone)  (0) 2025.05.19
이노시톨 (Inositol)  (2) 2025.05.19
콜린 (Choline)  (0) 2025.05.19
비오틴(Biotin)  (0) 2025.0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