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양요법

비타민 B-1 (Thiamin)

by 웰니스리아 2025. 5. 15.
반응형

 티아민(Thiamin)에 대해 처음 연구하던 학자들은 다발성신경염에 걸려있는 닭을 쌀겨로 치료하였다고 한다. 즉, 티아민의 부족은 신경염의 원인이 된다는 것을 후에 알게 되었다. 그래서 초창기에는 Aneurin (Anti-aneuritic)이라 불렀으며 현재도 Aneurin이라는 명칭도 같이 사용한다. 

 식물과 동물의 조직에서 발견되는 수용성 비타민으로 Glucose(혈당)를 에너지로 만들며,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여주는 물질이다. 따라서 운동할 때와 같이 많은 에너지가 소모될 때 티아민이 필요하다. 심장박동을 위하여, 신경계의 정상적인 기능을 위하여, 정상적인 적혈구 세포의 기능도 모두 티아민을 필요로 한다. 특히 신경계를 튼튼히 하여 정신능력을 좋게 함으로써 학습능력을 향상시키는 "활력소"라고도 한다.

 어린이 성장을 위해서, 위와 장 및 심장 근육의 강도를 위해서, 음식의 동화작용과 소화력을 증가시키므로 식욕을 안정화시키기 위해서도 티아민은 필요하다. 

비타민 B-1
비타민 B-1

 

1. 구조와 화학

 Thiamin이란 용어는 비타민 B-1의 작용을 하는 모든 물질에 대한 이름이다. 구조적으로 비타민 B-1 분자는 어떤 종류의 음이온이든 상관없이 결합된다. 즉, 양이온 분자 부분이 티아민의 특성을 갖는 부분이며, A의 부분은 어떤 종류의 음이온도 가능하지만, 일반적으로 Chloride이다. 

 티아민은 무색의 결정체로서 특유의 냄새를 갖고 있으며, 약간 쓴맛을 낸다. 수용성으로 알코올과 아세톤에 약간 녹지만, 에텔, 벤젠, 핵산, 클로로포름은 유기용매에는 불용성이다. 산성용액에서는 안정하며 가열해도 파괴되지 않는 반면, 중성이나 알칼리성용액에서는 불안정하다. 알칼리성용액에서는 산화되어 Thiochrome이라는 형광물질로 변하며 생물학적으로 불 활성화된다. 순수한 비타민 B-1은 공기 중에서 쉽게 산화되지 않는다. 상업적으로 이용되는 비타민 B-1 제제는 Hydrochloride form 보다는 안정도가 높은 Mononitrate form을 더 많이 활용한다. 티아민은 열, 알칼리, 산소, 방사선에 불안정하다. 

 

2. 흡수 및 대사

 티아민은 소장에서 빠르게 흡수된다. 흡수된 티아민은 혈액을 통해 간, 신장 그리고 심장으로 옮겨지면서 망간이나 다른 특별한 단백질과 결합하여 활성효소의 형태로 된다. 이 효소들이 탄수화물을 단당류로 분해해 주는 효소들이다.

 이 비타민은 체내의 특정부위에 다량을 저장하지 않기 때문에 매일 공급되어야만 한다. 소변으로 배설되는 티아민의 양은 흡수되는 양과 조직에 저자오디어 있는 양과 관계가 있다. 소량의 티아민을 섭취한 후 소변으로 배설되는 양을 측정함으로서 체내의 부족 여부를 알 수 있다. 

 많은 양을 체내에 저장하지 않기 때문에 부족할 때는 즉시 부족증상을 나타낸다. 티아민은 알코올에 의해 분해된다. 술은 대부분의 영양물질들의 흡수를 방해하지만, 특히 티아민과 리보플래빈(Riboflavin)에 대한 흡수의 방해는 더 심하다. 

 많은 양의 설탕이나 흡연은 티아민(Thiamin)의 소모를 증가시킨다. 티아민은 열과 공기 및 물과 같이 요리할 때 약하다. 이 비타민은 굴, 대합, 새우 등에 존재하는 효소에 의해 파괴되지만, 마늘을 같이 복용하면 파괴 효소의 작용을 막을 수 있다. 그러나 그 외의 해산물들은 티아민의 좋은 원료가 된다. 

 개인적 티아민의 필요량은 각 개인의 체중, 소화력 및 흡수되는 칼로리에 의해 결정된다. 개인이 얼마만큼의 에너지를 사용하는가에 따라서 결정된다. 탄수화물의 섭취가 많을 때에도 티아민의 소모량은 증가한다. 다이어트나 낮은 칼로리의 음식을 섭취하는 사람도 정상적인 음식을 식사하는 사람과 같은 양의 티아민을 필요로 한다. 체중 감소를 위해 다이어트를 하는 사람들이 상상외로 많다. 체중을 줄이기 위해 다이어트를 하는 것은 잘못된 방법이나, 이 경우에도 정상적인 대사를 위해서는 티아민의 섭취를 게을리해서는 안 된다. 티아민이 생화학적으로 활성형의 보조효소로 변하기 위해서는 마그네슘을 필요로 한다. 

 

3. 결핍증

 다발성신경염과 각기병은 티아민 부족현상이다. 말초신경염은 양다리의 끝 부분만의 병적 상태는 아니며, 때로는 양팔에서도 나타난다. 증상은 감각의 소실, 근육의 무력, 마비 등이다. 각기병은 부종과 같이 심전도 상에 이상이 나타난다. 

 진단은 식욕부진, 피로, 체중감소, 발바닥의 따가운 느낌, 장딴지근육의 풀어짐, 근육경련 및 연약 등이고 이때 혈액 및 소변의 티아민 양이 감소된다. 

 

4. 결핍의 원인

 - 음식의 조리, 가공에 의하여 티아민이 손실되거나 섭취가 부족한 경우

 - 알코올섭취에 의해 칼로리가 증가할 때

 - 고온상태에서 작업하는 경우

 - 위산결핍, 구토, 설사 등, 티아민을 섭취하여도 흡수가 불완전할 때

 - 임신, 수유, 과격한 운동을 하는 경우

 - 흡연

 

5. 자원

 식품 속에 두루 함유되어 있으나 대개 적은 양이 들어 있다. 티아민의 가장 좋은 공급원은 건조효모이며, 다른 좋은 공급원으로는 육류(돼지고기, 닭고기, 소고기), 정제되지 않은 곡류, 콩, 우유, 계란 등이 있다.

 

6. 요구량

 각기병이나 티아민 부족증상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균형 잡힌 식생활습관이 필요하다. 증상에 따라 10mg - 100mg/day를 투여하지만, 단독으로보다는 다른 B-그룹 비타민들과 같이 투여하는 것이 좋다. 이유는 Thiamin의 활성에도 영향을 미치며, 다른 비타민들의 상대적 결핍증상을 막기 위함이다.

 치료의 목적으로 가벼운 증상에는 100mg/day 정도를 투여하나, 심한 경우에는 200mg - 400mg/day까지 투여할 수 있다.

 

'영양요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타민 B-3 (Niacinamide, Niacin)  (2) 2025.05.15
비타민 B-2 (Riboflavin)  (2) 2025.05.15
비타민 B-complex  (0) 2025.05.15
비타민과 카로틴  (1) 2025.05.14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  (0) 2025.04.22